2025년, 교육 현장의 디지털 혁명 시작된다.

  2025년 대한민국 교육부가 영어, 수학, 정보 교과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 예정입니다. 이 획기적인 변화는 교실을 더욱 스마트하고 학생 중심적으로 혁신할 기회가 될 것입니다.

 

도입 배경: 교육 현장과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디지털교과서의 적용 로드맵을 조정하며, 국어와 기술·가정 교과는 제외하고 사회와 과학은 2027년부터 도입됩니다.

 

특수교육 강화: 국어와 수학 교과의 디지털 교과서는 초·중·고 전 과정에서 개발될 예정이며, 특수교육 학생들에게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검정 결과 발표: 2024년 최종 심사 결과를 통해, 76종의 디지털 교과서가 내년 교실에서 학생들을 만나게 됩니다.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로드맵 조정(안)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는 학생들에게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며, 교사에게는 데이터를 활용한 심층적인 학생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교실에서 토론, 문제 해결 중심의 수업이 활성화되고,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질 것입니다.

 

학생의 학습 경험 향상: 개인 맞춤형 학습 콘텐츠 제공으로 학습 흥미와 참여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교사의 수업 혁신 지원: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지도와 참여형 수업 설계가 용이해집니다.

 

지역 격차 해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으로 모든 학생들에게 성장의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잠자는 교실을 깨우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지혜롭게 활용해야 한다"며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교육의 새로운 도약을 약속했습니다. 정부와 현장의 협력을 바탕으로, 한국 교육의 미래가 더욱 밝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공지능을 활용으로 변화되는 교실
- AI를 활용한 변화되는 교실 -

 

문의할 곳 - 교육부 책임교육정책실 책임교육정책관 교육콘텐츠정책과(044-203-6471), 국립특수교육원(041-537-1539), 디지털교육기획관 디지털교육전환담당관(044-203-7058), 디지털교육기획관 디지털인프라담당관(044-203-7078)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